아래의 명조에 관한 전반적인 모습을 살피고 몇가지 포인트을 알아보면
우선 종격에 관한 연구는 적천수가 다각도로 조명하고 있습니다.
관점)1.병화,정화 특질
1종,화격은 얼마나 되겠는가?즉 성립 조건이 까다롭다.
1종격에도 길흉의 차이가있으며 반드시 길하다고 할 수없다.
1종격,외격에도 한난조습이 필요하다.
1정화는 아무리 강하거나 약해도 생존 방법이있다.
1병화가 지나치게 강해지면 문제가 된다.
1종격에 거슬리는 세력은 없는가?
1영향요계을 살펴라 즉 천간 지지의 구성을 잘보라.
1丙,癸는 타간의 영향을 거의 받지안는다.
여기서 위의 미미한 변화을 살펴보면
아래 명조의 희기가 정확히 일치하는것을 알 수가 있다.
1)
68 58 48 38 28 18 08
庚 辛 壬 癸 甲 乙 丙 --- 丙 丁 丁 癸 : 71세 乾命 (중국인 주가화 명조)
戌 亥 子 丑 寅 卯 辰 --- 午 卯 巳 巳
* 중국 국민당 교육부장,교통부장, 절강성 주석 등 역임하고 65세에 퇴임 후 71세에 사망.
* 서락오 선생이 水用으로 보았다고 한다.
#정일주가 강해도 문제가 없는데,병화가 분리되어 힘이 분산되었다.병화는 강한 목기운을 받으면 또한 힘이 약해지니 운로의 흐름이 좋고,수대운에는 조후가 맞어 더욱 빚난다.
2)
壬 癸 甲 乙 丙 --- 癸 丙 丁 癸 : 乾命 (적천수천미 예문)
子 丑 寅 卯 辰 --- 巳 午 巳 未
* 임철초 선생이 종강격으로 본 명조이다. 甲寅대운까지 잘 나가다가 癸丑대운 이후로 무너졌고 壬子대운에 화재사고로 망했다고 풀고 있다.
#이명조 위에서 언급했듯이 목대운에 특히갑대운에 잘나가고,수대운에 무너진것은
병화일주가 강하게 집중이 되어 천간에 계수가 2개나뜨고 대운에와도 안하무인격이다.
특이 병화가 지나치면 종격도 귀격이 될 수가없다.
3)
73 63 53 43 33 23 13 03
己 庚 辛 壬 癸 甲 乙 丙 --- 丙 丁 丁 癸 : 乾命 (1963년생)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 午 巳 巳 卯
* 단건업의 맹파 자료: 甲寅運에 대기업의 부사장을 역임했고 20억 가까운 재복이 있었다. 癸丑運으로 흐르자 丑이 午火 록을 상하게 하니 다시는 일을 하지 않았다. 이 사주는 어떤 일도 하질 않는다. 부인이 먹여 살리는데 부인의 능력이 탁월하다. 재산이 30-40억 정도다.
#이 명조도 병화가 집중되었지만 2번보다는 미약하고 일간도 정화이고 희기의 흐름이 비슷하지만 강도의 차이는 엄청나다.
4)
己 庚 辛 壬 癸 甲 乙 丙 --- 丙 丁 丁 癸 : 乾命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 午 未 巳 卯
* 발전하지 못했다. 1963년생이 아닌 듯하다.
#대발하지못한것은 2번과 비슷하나 일간이 다르고 3)보다 병화가 더 강하게 작용하여 곤고하지만 자신의 죽음은 면할것이다.
5)
88 78 68 58 48 38 28 18 08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丙 --- 乙 丁 丁 壬 : 28세 坤命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 巳 巳 未 戌
* 현재 스튜디어스를 하고 있으며, 언어는 국어 포함 5개 국어를 구사한다. 2개 국어는 능통이고 2개 국어는 잘하는 수준이며 1개 국어는 기초적인 대화 가능. 아버지가 일본 가전회사 히xx에 주로 납품하는 회사 사장이다. 丙午대운에는 잘 풀려 한 달에 잘될 때는 몇 억씩 순수익을 내었다 한다. 평균 1억. 乙巳대운 들어오면서 한 달에 몇 천 정도로 순수익이 난다고 한다.
#이명조을 보더라도 병화가 있고 없고의 차이을 명확히 알 수가 있다.
6)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 壬 丁 丙 丁 : 乾命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 寅 巳 午 酉
* 동남운에 발신하고 金水運에 위액을 당하다가 子運에 화액으로 사망하였다. 이 사주는 연해자평에도 나오는데 내용이 상이하여 이상하나 동남운에 의식이 족했다고 나온다.
#이 명조는 금수운에 거스르는 간지을 살펴봐야한다.
병신합거로 일진일퇴하지만 사유축으로 화기에 도전하고,
경자대운은 병화가 살아나고 재관이 강하게 급변하여 종격을 파하므로 어려움을 당한다.
4번과 차이는 대운의 차이,계수가 없는데 있다.
명조의 간명이란것은 이렇게 유사한 사주라도 전반적인 관점을 아울러서 냉철하게 분석하여 판단하여 일장일단을 구분 할 수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사주을 잘 보는 지름길이 아닌가한다. 그러나 말처럼 쉬운것은 아닌것같다.
단순한 내용인것 처럼 설명 되었지만 깊이 생각해보면 다양한 변화을 관찰 할 수있고 웬 만한 책 여러권 읽는것보다 좋은 공부가 될것으로 생각하고,이렇게 비교 분석하는 자료는 동서고금을 보더라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혹 있다면 알려주면 공부에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