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甲

갑자로 시작하는 연유

土談 2010. 9. 14. 23:02

 

子는 북방의 수 기운으로 정위치로서 정북이다.

이 위치는 관찰자의 태양과지구의 평면적인 관점이지

평양 북,부산 남쪽의 고정관념과 혼동 해서는 안됩니다.

하루중에 시간으로서는 태양으로 가장원거리에 있을때

계절로는 지구의 기울기가 태양의 환경의 혜택을 가장적게 받는 겨울이다

즉 하강기운이나 침체의 시기가 끝나고 상승기운으로 나가려는 힘의 終始點이며

어둠에서 밝음으로 바구는 始作點입니다.

 

천간은 지지와 결합하여 60갑자을 만듭니다.

천간은 양으로 기적인 주체가되고 年과 日의 변화을 담당하고

月과 時에서는지지의 用으로 외적인 氣이다.

그러므로 목 화 토 금 수로 천간은 양 순행하고 오운의 기의 흐름이 같습니다.

        즉  1  2  3   4  5 運에 해당합니다.

甲 천간이 1運부터 시작하고있습니다.

 

지지는 음적인 형이 하학적인 시간과 공간으로 표시합니다.

원인이 되는 외부의 기가 만들어지는 결과가 지지이며 외부의 기가 내면에 형성 될때

필요한 시공이 있어야 합니다.

조수간만의 원인과 현상 에는 어느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는것입니다.

그러므로 천간이 지지보다 앞선고 그러므로 5가 아닌 6기가 되고

진술축미의 4토는 4방 모서리가 되어 수화금목의 4기운이

조화을 이루어 12지지가 된것입니다.

년 월에서 일 시간을 찾을때 조견표을 참고하면

천간은 고정되고 지지가 역행 한다는 사실을 발견할것입니다.

그러므로 수 목 화 토 상화 금  으로 운행하고 육기의 기의 흐름이 같습니다.

       즉   1   2  3   4   5    6 氣에 해당합니다.

子지지는 1氣가 아닌 3氣해당 합니다

그 이유는 水와 土의 기운인 지구(지지)는 외적인 天의 기로써 동하며,

(조수간만의 원인과 현상 에는 어느정도의 기간)1기 2기을 거친 후에

화의 기와 더불어 수,화의 조화로 형성되어

화왕절인 3기(소만-대서)때에 가장 왕성하한 氣가 된다.

 

이때 외적인 동력인 천간의 변화가 지지처럼 일정한 기간이 필요하지 않고

음양오행으로 운행하니 지지보다 앞선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수 보다 양목의 기운인 갑목이 상승기운으로 변 할때

표면에 지지가 자수의 기로 시작합니다.

 

이것으로 先陽後陰과 陽純陰逆의 이치을 살펴 보았습니다.

육십갑자을 만든 현자의 지혜에 감탄하지 않을 수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십간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진  (0) 2012.10.28
황극강  (0) 2012.03.14
갑인  (0) 2012.02.28
수화  (0) 2011.12.06
다양한 관점의 차이  (0) 201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