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뿌리

徐翰廷

土談 2011. 8. 29. 18:26

  서한정(徐翰廷)

성명(姓名)

 서한정(徐翰廷)

본관(本貫)

 달성(達城)

시대(時代)

 (1407∼1490)

자(字)

 

호(號)

둔암(遯庵)

이력(履歷)

澗松堂文集(문고 보관)

遯庵先生遺集 (古西 810.819 서91?) (古枕 810.819 서91?)

徐翰廷 (1407∼1490) ; 號 遯庵, 本貫 達城.

木板本. - [發行事項不明].

2卷1冊 ; 31x19.3cm.

四周雙邊.半匡 ; 19.3x14.5cm.有界.10行18字.註雙行.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조선 전기의 학자인 서한정의 유집이다. 서한정은 진사 균(均)의 아들이며 달성에서 살았다.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세조가 왕위를 찬탈, 단종이 손위(遜位)하자 벼슬할 것을 단념하고 가족과 함께 소백산으로 들어가 은둔생활로 일생을 마쳤다. 권득평(權得平)은 그에게 준 시에서 노중연(魯仲連)과 백이숙제(佰夷叔齊)에 비겨 그의 고절(高節)을 찬양하였다. 이 문집은 1814(순조 14)년 10세손 홍윤(弘胤)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시(詩)의 「신거이수(新居二首)」는 단종이 손위하고 세조가 즉위하자 은둔의 뜻을 품고 순흥 등강촌(順興 登岡村)으로 이사한 뒤 혼란한 시사(時事)를 한탄하며 자신의 괴로운 심경을 토로한 것으로 그의 소지(素志)를 밝힌 시이다.

序 ; 蔡濟恭, 李守貞.

目錄.

卷之 1. 詩(8首).

卷之 2. 附錄 ; 呈遯庵新居, 雨後呈遯庵, 祭文, 榮州誌, 達城世譜序, 墓誌銘, 墓碣銘, 家狀, 登岡記, 登岡志, 著存齋記, 九?里社奉安告文, 常享祝文, 甲辰 上言, 禮曹回 啓, 戊申 上言, 吏曹回 啓, 本道狀 聞, 吏曹回 啓, 士林呈禮曹書, 新編 莊陵志, 登西樓記.

識 ; 徐弘胤.

 

 

사원일람<祠院一覽> 辛鍾友 著

서한정(徐韓廷)

#경상도(慶尙道)  영주(榮州)

*구고서원(龜皐書院)

영조계유건(英祖癸酉建). 1753년 영풍군 단산면 사천리(沙川里)

제향. 서한정(호둔암 진사 본달성).

祭享. 徐韓廷(號遯庵 進士 本達城).

묘(墓)

 

부(父)

 

모(母)

 

배(配)

 

자(子)

 

녀(女)

 

형제(兄弟)

 

문헌(文獻)

1. 서한정(徐翰廷)

순흥의 씨족 이야기 . 순흥의 씨족(氏族) 분포

(2) 단산권(丹山圈)

○ 새내(沙川) 달성 서(徐)씨 : 조선 초기 진사(進士) 서한정(徐翰廷)을 입향조(入鄕祖)로 한다. 세종(世宗)때 진사(進士)에 오른 서한정은 청운의 뜻을 품고 성균관(成均館)에서 글을 읽다가, 단종(端宗)임금이 왕위를 빼앗기자 비분강개(悲憤慷慨)하여 출세를 단념, 이곳에 낙향하여 등령(登瀛:새내동편 건너마을)을 거쳐 새내에 터전을 열었다.

새내 달성 서씨는 소과(小科) 15장에 대과(大科) 3장(文科 2장 武科 1장), 많은 음사(蔭仕) · 문행(文行)의 선비를 냈다.

 

2. 서한정(徐韓廷) 본관 달성(達城)

문화유적 > 서원

구고서원(龜皐書院)  

소 재 지 영풍군 단산면 사천리(沙川里)

창건년대 1753년(英祖 29)

창건자 사림(士林)

봉안위 진사(進士) 서한정(徐韓廷)

적   요 상절사(象節祠)를 1786년에 서원으로 승원

 

3. 서한정(徐翰廷) 본 달성(達城)

영주 문화유적 > 정각

돈암정(돈庵亭)

영풍군 단산면 사천리에 있으며 달성서씨 문중이 관리한다. 지평(持平) 서한정(徐翰廷)의 건립으로 자서시와 권득평(權得平)의 기가 있다.

기타(其他)

  계룡산 동학사 숙모전에 조선 단종을 위한충신중에 한 분으로으로

   위폐가 모셔져있음.

 

구 분

달 성 서 씨

대 구 서 씨

기 사 항

 

 

 

 

원조 또는 시조

판도공(晉)

소윤공(閈)

두 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문헌상의 고증이 아직 없다

후손들의 본

달성(達城)

대구(大丘) 또는 달성(達城)

대구서씨의 대구는 대구광역시의 大邱와 다르게 大丘로 쓴다

종파

9개 종파(현감공파, 학유공파, 판서공파, 감찰공파, 진사공파, 생원공파, 진사공파, 참판공파, 종사랑공파)

12개 종파(만사공파, 전첨공파, 첨추공파, 도위공파, 봉사공파, 사가공파, 서흥파, 춘헌공파, 승사랑공파, 장원공파, 훈련봉사공파, 배산파)

대구서씨의 종파는 1852년도 임자보 당시에는 7개 파이었으나 일제 강점기 이후에 늘어난 5개 파는 상계가 확실치 않아 계미보에서는 임편에 등재되었다

가문을 빛낸 선조 (정부수립 이전)

서기준, 서영, 서균형, 서침, 서습, 서한정, 서제, 서도, 서섭, 서근중, 서석련, 서석명, 서석령, 서진, 서인원, 서시중, 서응시, 서방경, 서사원, 서인충, 서몽호, 서시립, 서사선, 서승희, 서변, 서병오, 서상일, 서상한

서익진, 서미성, 서거광, 서거정, 서팽소, 서팽려, 서후, 서고, 서해, 서성, 서경우, 서경수, 서경빈, 서경주, 서원리, 서상리, 서도립, 서문상, 서문중, 서문유, 서종태, 서종헌, 서종제, 서종급, 서종옥, 서종만, 서종창, 서명균, 서명빈, 서명구, 서명형, 서명서, 서명응, 서명신, 서명선, 서명위, 서혁수, 서회수, 서지수, 서효수, 서형수, 서매수, 서호수, 서형수, 서정수, 서덕수, 서유대, 서유녕, 서유린, 서유경, 서유신, 서유방, 서유구, 서유여, 서유훈, 서유원, 서용보, 서영보, 서영보(대제학), 서능보, 서준보, 서경보, 서춘보, 서좌보, 서당보, 서승보, 서신보, 서봉순, 서학순, 서우순, 서기순, 서명순, 서희순, 서만순, 서영순, 서염순, 서헌순, 서대순, 서원순, 서형순, 서형순, 서정순, 서상규, 서상오, 서상익, 서상직, 서상조, 서상조, 서상정, 서상악, 서상우, 서상렬, 서상훈, 서광승, 서광범, 서병정, 서병무, 서병훈, 서병태, 서정규, 서광철, 서병익, 서병창, 서병희, 서재창, 서재필

출처: (한글판) 우리집의 족보, 편저자: 뿌리찾기운동본부 한국성씨족보대전편찬위원회, 발행처: 민중서원 (19970830)

항렬표

19세(幹/相), 20세(炳/光/烈/丙), 21세(基/廷/載/坤/), 22세(錫/鎭), 23세(洙/源/浩), 24세(東/正), 25세(敎), 26세(輔/), 27세(德), 28세(永)

19세(命), 20세(修), 21세(有), 22세(輔), 23세(淳), 24세(相), 25세(光/丙), 26세(載/廷), 27세(錫), 28세(源), 29세(東), 30세(德), 31세()

대구서씨의 25세와 26세의 항렬은 당초 光과 載였으나 서재필과 서광범이 갑신정변을 일으킨 후 3일만에 실패함에 따라 삼족을 멸하는 환란을 피하기 위해 25세와 26세의 항렬을 하나씩 더 만들어 무사하게 되었음

대종회

미확인

서울 종로구 숭인동

달성서씨의 대종회 연락처를 아시는 분은 이 기회에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초간보 발행

1755년 (을해보)

1702년 (임오보)

 

족보 제호

달성서씨세보

대구서씨세보

자신의 본이 어디인지 또 어느 서가인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조(시조)가 누구이신 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빠르다

숙모전
    시청각
    간략정보
    지도
    연표
    수정이력
     한자
     영어음역
     영어의미역
     분야
     유형
     지역
     시대
     집필자
    유입검색어
    사용자태그
     성격
     양식
     건립시기/일시
     정면칸수
     측면칸수
     소재지 주소
     소유자
     관리자
     문화재 지정번호
     문화재 지정일

  • [정의]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조선 전기에 단종의 영혼과 세조에게 항거한 충신 열사의 혼을 모시기 위해 세워진 사우.

  • [위치]
  • 공주에서 대전 방면으로 32번 도로를 따라가면 16㎞ 거리에 박정자 삼거리가 있다. 여기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약 4㎞를 가면 동학사가 있는데, 숙모전동학사의 동편에 위치하고 있다.

  • [변천]
  • 숙모전은 억울하게 죽은 단종과 사육신, 금성대군을 비롯하여 김종서신라, 고려, 조선의 충절인 280여 위를 배향하고 있는 사우이다. 숙모전은 1456년(세조 2)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죽은 사육신의 시신을 김시습이 혼자 수습하여 몰래 장사치루고 동학사로 돌아와 삼은각 옆에 단을 쌓고 초혼제를 지낸 초혼단이 그 시초이다.

    초혼단은 1728년(영조 4)의 무신란 때 신천영(申天永)초혼각동학사를 방화하여 폐허가 되었다가 여러 번 중건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1827년(순조 27)에야 일각을 세우는 데 그치고 말았다.

    1830년(순조 30)에 동학서원의 건립이 추진되면서 서원이 창건되면서, 삼상(三相)·육신(六臣)과 삼은(三隱)·계림백(鷄林伯)을 제향하고 단종과 여러 절신을 따로 모셔 군신의 자리를 나누었다. 그러나 서원은 6년 후 훼철되었고 1864년(고종 1) 사찰이 대대적으로 중건되면서 가람 40칸과 함께 초혼각 3칸이 마련되었다. 1904년(고종 41)에는 초혼각숙모전(肅慕殿)이라 개칭하고 사액하였으며, 단종의 비 정순황후단종 위패에 합독(合櫝)하였다.

    한편 일제강점기인 1916년에 김복한(金福漢)·최영조(崔永祚)·송계헌(宋桂憲) 등의 주동으로 제수(祭需)와 중수비를 모아 증축에 착수하여 완공하였고, 1921년에는 다시 두 배로 중건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 [형태]
  • 숙모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초익공 형식의 사당 건물이다. 저면은 띠살 사분각으로 배공시킬 수 있다. 숙모전 전정 동·서변에 늘어선 동·서무는 정면 6칸, 측면 1칸의 건물이며, 1883년(고종 20)에 충청좌도어사 우석에 의해 건립되어 군신을 나누어 봉사하게 하였다.

  • [의의와 평가]
  • 신라, 고려, 조선 삼대의 충절인이 배향되어 있어 일반적인 서원 사우의 특징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유교와 불교가 한자리에 있는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공주군지』(공주군지편찬위원회, 1988)
    • 『충남지역의 문화유적』2-공주군편(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8)
    • 『공주의 맥』(공주시·공주문화원, 1992)
    • 『공주문화유적』(공주시·공주대학교 박물관, 1995)
    • 『문화유적분포지도』(충청남도·공주대학교 박물관, 1998)
    • 『충남의 서원·사우』(충청남도·충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1999)

    • 『공주시지』(공주시지편찬위원회, 2002)

     


 

                                                                        고려대 박물관 소장

'취미 > 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성  (0) 2019.06.23
조부의 도맥  (0) 2012.08.28
구고서원  (0) 2011.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