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한정(徐翰廷)
성명(姓名) |
서한정(徐翰廷) |
본관(本貫) |
달성(達城) |
||
시대(時代) |
(1407∼1490) |
자(字) |
|
호(號) |
둔암(遯庵) |
이력(履歷) |
澗松堂文集(문고 보관) 遯庵先生遺集 (古西 810.819 서91?) (古枕 810.819 서91?) 徐翰廷 (1407∼1490) ; 號 遯庵, 本貫 達城. 木板本. - [發行事項不明]. 2卷1冊 ; 31x19.3cm. 四周雙邊.半匡 ; 19.3x14.5cm.有界.10行18字.註雙行.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조선 전기의 학자인 서한정의 유집이다. 서한정은 진사 균(均)의 아들이며 달성에서 살았다.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세조가 왕위를 찬탈, 단종이 손위(遜位)하자 벼슬할 것을 단념하고 가족과 함께 소백산으로 들어가 은둔생활로 일생을 마쳤다. 권득평(權得平)은 그에게 준 시에서 노중연(魯仲連)과 백이숙제(佰夷叔齊)에 비겨 그의 고절(高節)을 찬양하였다. 이 문집은 1814(순조 14)년 10세손 홍윤(弘胤)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시(詩)의 「신거이수(新居二首)」는 단종이 손위하고 세조가 즉위하자 은둔의 뜻을 품고 순흥 등강촌(順興 登岡村)으로 이사한 뒤 혼란한 시사(時事)를 한탄하며 자신의 괴로운 심경을 토로한 것으로 그의 소지(素志)를 밝힌 시이다. 序 ; 蔡濟恭, 李守貞. 目錄. 卷之 1. 詩(8首). 卷之 2. 附錄 ; 呈遯庵新居, 雨後呈遯庵, 祭文, 榮州誌, 達城世譜序, 墓誌銘, 墓碣銘, 家狀, 登岡記, 登岡志, 著存齋記, 九?里社奉安告文, 常享祝文, 甲辰 上言, 禮曹回 啓, 戊申 上言, 吏曹回 啓, 本道狀 聞, 吏曹回 啓, 士林呈禮曹書, 新編 莊陵志, 登西樓記. 識 ; 徐弘胤.
사원일람<祠院一覽> 辛鍾友 著 서한정(徐韓廷) #경상도(慶尙道) 영주(榮州) *구고서원(龜皐書院) 영조계유건(英祖癸酉建). 1753년 영풍군 단산면 사천리(沙川里) 제향. 서한정(호둔암 진사 본달성). 祭享. 徐韓廷(號遯庵 進士 本達城). | ||||
묘(墓) |
|
||||
부(父) |
| ||||
모(母) |
| ||||
배(配) |
| ||||
자(子) |
| ||||
녀(女) |
| ||||
형제(兄弟) |
| ||||
문헌(文獻) |
1. 서한정(徐翰廷) 순흥의 씨족 이야기 . 순흥의 씨족(氏族) 분포 (2) 단산권(丹山圈) ○ 새내(沙川) 달성 서(徐)씨 : 조선 초기 진사(進士) 서한정(徐翰廷)을 입향조(入鄕祖)로 한다. 세종(世宗)때 진사(進士)에 오른 서한정은 청운의 뜻을 품고 성균관(成均館)에서 글을 읽다가, 단종(端宗)임금이 왕위를 빼앗기자 비분강개(悲憤慷慨)하여 출세를 단념, 이곳에 낙향하여 등령(登瀛:새내동편 건너마을)을 거쳐 새내에 터전을 열었다. 새내 달성 서씨는 소과(小科) 15장에 대과(大科) 3장(文科 2장 武科 1장), 많은 음사(蔭仕) · 문행(文行)의 선비를 냈다.
2. 서한정(徐韓廷) 본관 달성(達城) 문화유적 > 서원 구고서원(龜皐書院) 소 재 지 영풍군 단산면 사천리(沙川里) 창건년대 1753년(英祖 29) 창건자 사림(士林) 봉안위 진사(進士) 서한정(徐韓廷) 적 요 상절사(象節祠)를 1786년에 서원으로 승원
3. 서한정(徐翰廷) 본 달성(達城) 영주 문화유적 > 정각 돈암정(돈庵亭) 영풍군 단산면 사천리에 있으며 달성서씨 문중이 관리한다. 지평(持平) 서한정(徐翰廷)의 건립으로 자서시와 권득평(權得平)의 기가 있다. | ||||
기타(其他) |
계룡산 동학사 숙모전에 조선 단종을 위한충신중에 한 분으로으로 위폐가 모셔져있음. |
구 분 |
달 성 서 씨 |
대 구 서 씨 |
특 기 사 항 |
|
|
|
|
원조 또는 시조 |
판도공 진(晉) |
소윤공 한(閈) |
두 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문헌상의 고증이 아직 없다 |
후손들의 본 |
달성(達城) |
대구(大丘) 또는 달성(達城) |
대구서씨의 대구는 대구광역시의 大邱와 다르게 大丘로 쓴다 |
종파 |
9개 종파(현감공파, 학유공파, 판서공파, 감찰공파, 진사공파, 생원공파, 진사공파, 참판공파, 종사랑공파) |
12개 종파(만사공파, 전첨공파, 첨추공파, 도위공파, 봉사공파, 사가공파, 서흥파, 춘헌공파, 승사랑공파, 장원공파, 훈련봉사공파, 배산파) |
대구서씨의 종파는 1852년도 임자보 당시에는 7개 파이었으나 일제 강점기 이후에 늘어난 5개 파는 상계가 확실치 않아 계미보에서는 임편에 등재되었다 |
가문을 빛낸 선조 (정부수립 이전) |
서기준, 서영, 서균형, 서침, 서습, 서한정, 서제, 서도, 서섭, 서근중, 서석련, 서석명, 서석령, 서진, 서인원, 서시중, 서응시, 서방경, 서사원, 서인충, 서몽호, 서시립, 서사선, 서승희, 서변, 서병오, 서상일, 서상한 등 |
서익진, 서미성, 서거광, 서거정, 서팽소, 서팽려, 서후, 서고, 서해, 서성, 서경우, 서경수, 서경빈, 서경주, 서원리, 서상리, 서도립, 서문상, 서문중, 서문유, 서종태, 서종헌, 서종제, 서종급, 서종옥, 서종만, 서종창, 서명균, 서명빈, 서명구, 서명형, 서명서, 서명응, 서명신, 서명선, 서명위, 서혁수, 서회수, 서지수, 서효수, 서형수, 서매수, 서호수, 서형수, 서정수, 서덕수, 서유대, 서유녕, 서유린, 서유경, 서유신, 서유방, 서유구, 서유여, 서유훈, 서유원, 서용보, 서영보, 서영보(대제학), 서능보, 서준보, 서경보, 서춘보, 서좌보, 서당보, 서승보, 서신보, 서봉순, 서학순, 서우순, 서기순, 서명순, 서희순, 서만순, 서영순, 서염순, 서헌순, 서대순, 서원순, 서형순, 서형순, 서정순, 서상규, 서상오, 서상익, 서상직, 서상조, 서상조, 서상정, 서상악, 서상우, 서상렬, 서상훈, 서광승, 서광범, 서병정, 서병무, 서병훈, 서병태, 서정규, 서광철, 서병익, 서병창, 서병희, 서재창, 서재필 등 |
출처: (한글판) 우리집의 족보, 편저자: 뿌리찾기운동본부 한국성씨족보대전편찬위원회, 발행처: 민중서원 (19970830) |
항렬표 |
19세(幹/相), 20세(炳/光/烈/丙), 21세(基/廷/載/坤/奎), 22세(錫/鎭), 23세(洙/源/浩), 24세(東/正), 25세(敎), 26세(輔/逵), 27세(德), 28세(永) |
19세(命), 20세(修), 21세(有), 22세(輔), 23세(淳), 24세(相), 25세(光/丙), 26세(載/廷), 27세(錫), 28세(源), 29세(東), 30세(德), 31세(逵) |
대구서씨의 25세와 26세의 항렬은 당초 光과 載였으나 서재필과 서광범이 갑신정변을 일으킨 후 3일만에 실패함에 따라 삼족을 멸하는 환란을 피하기 위해 25세와 26세의 항렬을 하나씩 더 만들어 무사하게 되었음 |
대종회 |
미확인 |
서울 종로구 숭인동 |
달성서씨의 대종회 연락처를 아시는 분은 이 기회에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
초간보 발행 |
1755년 (을해보) |
1702년 (임오보) |
|
족보 제호 |
달성서씨세보 |
대구서씨세보 |
자신의 본이 어디인지 또 어느 서가인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조(시조)가 누구이신 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빠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