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좌전에 복서에 관하여
각종문헌과 학자,활용하는 왕들의 입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어야 하는 관점입니다.
좌구명이 많은 복서가 있지만 예로 활용할 수있는 것만 20여가지을 춘추에 실였고
그외 쓸데없는 사례가 널려있어 믿을게 못된다는 뉘앙스도 있습니다.
왕들도
복,서,경사.서인,자신 즉 5가지 의견을 종합하여 결정하지
복서만으로 결정하지는 않는다는 것 입니다.
홍범,학자등등에서
결과는 사람의 행동에서 나온것이지 복서에서 나온것이아니니
수신의 덕을 권하는데 공경하라고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복서을 믿을 확율 또한 미미하다는 의미인데
요즘 학인들이 높은 확률을 장담하는 것은 어디서
나오는 것인지요?
믿에 내용은 제나라 강씨 성의 나라인데
진나라 규씨 전씨 성을 가진 진경중의 5대손이 제나라 왕이 된다는
춘추 장공22년에 복서 입니다.
또 다른 사례로
南蒯 則行驗而龜筮不驗,행동과 경험이 맞고 복서가 틀린경우
臧會 則行不驗而龜筮驗 행동과 경험이 틀리고 복서가 맞는경우
춘추에 대표적인 사례가 아닌가 합니다.
이것을 전후 상황을 고려하면
나 중에 갖다 붙인 점괘일 확률이 많다는 것입니다.
역대로 신비한 예언은 두가지 측면이
후대사람이 억지로 끌여붙여 이해하는 척히던지
위조하여 사실을 적중 시킨것이라는데
아래 돌탑 사진은
저가 10여년 전에 공부을 할때 운동이 부족하여 하루에 한두번 산에 오르내릴 쌓아올린 돌탑이다.
야산이라 뛰어서 10분 정도 최소한 30분은 움직여야 운동이 되는데 궁리끝에 주변에 돌을 쌓는 것을 한것이다.
이사 가고 안온지가 10년이 넘었는데 오늘 운동삼아 가보니 아직 그대로 그자리을 지키고 있었다.
앞으로 언제까지 남아 있을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여기에 오르면 3봉이 있는데 매봉 수리봉 잠봉 이곳에서 내려다 보면 도심을 통과하는 큰 강 줄기가 흐르고 도심이 한눈에 들어 온다. 우연찮게 돌탑도 3개다 그당시는 봉의 이름이 있는지도 알고 싶지도않았고 산이 있으니 운동삼아 갈뿐이였다. 사색을 즐기기에는 이만한 장소을 찾기도 어렵지 않을까 싶다.
요즘 동네 올레길 처럼 표지판이 많은데 이곳도 수리봉의 전설이 천지가 개벽하고 삼봉이 생기고 앞에는 강이펼쳐져 도심을 내려다보고 수리가 수호신처럼 지켰다고 적고 있다.
오르내리는 사람들은 자신의 입장에서 이 돌탑이 만들어진 연유을 나름대로 해석 할것이다.
처음 시작하면서 다른 사람들도 한두개 보태면서
병을 고치기위해서 합격을 아이낳기을 돈많이 벌기을 소원을
다른 돌탑처럼 거창한 미사구려을 삼봉을 지키는 수호신 처럼 쌓았다고 볼 수도 있다.
정작 본인은 운동삼아 한 것인데.
앞으로 얼마나 많은 쓸데없는 소리가 회자 될지도 모르고
이제는 운동삼아 한것 뿐만 아니라 저가 쌓았다는 것 조차 아무도 믿으러 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자신이 필요에 따라 들었다 추락시키는 경향을 팽배하기 하기때문에
쉽게 표현하면 본질과 다르게 저거 쌓고 해안이 열렸어 또는 너무 빠져 모자라 졌어 소원을 이루었어 등등등
자신이 뜻하지 않게 맞을 수도있고
타인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 주장의 조건에 맞도록 하는 것이
역사도 이런 측면이 있지않은가 생각해본다.
사이크스 피코협정,치코 멘데스의죽음 처럼
이런 것이 인간 마음의 본질일지 모르니까?
疏注「成子」至「放此」。○正義曰:沈氏雲:「《世家》:『桓子生武子啟及僖子乞。乞卒,子常代之,是為田成子。』是於敬仲為七世,言八世者,據其相代在位為八世也。」成子弒簡公,專齊政,是莫之與大也。成子生襄子磐,磐生莊子白,白生大公和,和遷齊康公於海上,和立為齊侯。和孫威王稱王,四世而秦滅之。作傳之時,完之子孫巳盛,故傳備言其終始也。《世家》雲「敬仲之如齊,以陳字為田氏」,《左傳》終始稱陳,田必非敬仲所改,未知何時改耳。《左傳》之初,至此始有卜筮,故杜於此通說之。《曲禮》曰:「卜筮者,先聖王之所以使民決嫌疑,定猶與也。」是先王立之本意也。因而生義教,謂教人以行義行善,則德協於卜;行惡則遇吉反凶,必以行義乃可卜也。《洪範》曰:「汝則有大疑,謀及乃心,謀及卿士,謀及庶人,謀及卜筮。」謀及卿士而以卜筮同之,是通龜筮以同卿士之數也。南蒯卜為亂,不信則不可;臧會卜為僭,不信乃遂吉,二事相反,故特引之,言卜筮應人行也。南蒯在昭十二年,臧會在昭二十五年。南蒯筮而言卜者,卜筮通言耳。杜引《洪範》者,欲明龜筮未必神靈,故雲以同卿士之數,言龜筮所見,才與卿士同耳。又引南蒯者,明吉凶由行,不由卜筮,欲使人脩德行不可純信卜筮也。又引臧會者,吉凶亦由卜筮,不可專在於行,欲使人敬龜筮也。故丘明舉縣驗於行事者,以示來世脩德行,敬龜筮。言驗於行事者,南蒯則行驗而龜筮不驗,臧會則行不驗而龜筮驗。言君子誌其善者遠者,善者謂勸人脩德行、敬龜筮是也;遠者謂舉其大綱,勸人為善,長久遠道,非有臨時應驗。此遠者即上善者,指其事謂之善,指其教謂之遠。劉炫雲:「計春秋之時,卜筮多矣,丘明所載唯二十許事,舉其縣驗於行事者,其不驗者不載之。」君子之人,當記其忠之善者,知之遠者,他皆放此。
누군가가 매봉 132미터라고 표기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