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한문

52

土談 2013. 4. 12. 23:08

筆禿千管, 墨磨萬錠

禿(독)은 털이 빠진 것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붓이 닳아 못쓰게 됨을 가리킨다. 독(禿)수리는 머리에 털이 없는 수리이고, 禿山(독산)은 민둥산이다. 禿筆(독필)은 털이 빠진 붓으로 글 솜씨가 없음을 비유한다. 管(관)은 대롱 또는 붓대이다. 여기서는 붓을 세는 말로 ‘자루’에 해당한다.

 

못쓰게 된 붓이 무덤을 이루고 연못이 온통 먹물로 검게 된다면 王羲之(왕희지)에게는 못 미쳐도 王獻之(왕헌지)에게는 미친다고도 하였다. 왕헌지는 書聖(서성)인 아버지 왕희지에게 가려졌지만 역시 뛰어난 서예가였다. 예술인 서예가 그러하듯, 꾸준한 연습은 높은 경지에 이르는 결정적 요소이며 또 믿음직한 인도자이다

 

海闊從魚躍, 天空任鳥飛

從(종)은 順從(순종)이나 從屬(종속)처럼 따르다 또는 따르게 하다의 뜻 외에, 내버려 두다의 뜻도 있다. 뒤의 任(임)도 任務(임무)나 任用(임용)처럼 맡다 또는 맡기다의 뜻 외에 마음대로 하게 맡겨 두다의 뜻이 있다. 여기서는 모두 ‘∼가 ∼하도록 내맡겨 두다’ 정도의 의미이다. 위와 같이 대구를 이루는 두 구절에서 짝이 되는 글자들은 그 문법적 역할이 같을 뿐만 아니라 의미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審其好惡, 則其長短可知也

番(번)의 윗부분은 동물 발바닥과 발톱을, 아랫부분은 발자국을 본뜬 것이라고 한다. 차례나 횟수의 뜻은 본뜻과는 무관하게 뒤에 부가된 뜻이다. 審問(심문)은 자세히 따져 물음, 審議(심의)는 심사하고 토의함, 審美眼(심미안)은 미를 분별하여 아는 눈이다.

 

長(장)은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친 모습을 본뜬 것이다. 短(단)은 화살인 矢(시)가 의미 요소인데, 짧은 것을 잴 때 화살을 표준으로 삼았다고 한다. 여기서의 長短(장단)은 강점과 약점 또는 장점과 단점을 가리킨다.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보면 그 사람의 품성이 지닌 강점과 약점을 알 수 있다. 재능 역시 마찬가지이다. 재능이 있으면 그것을 좋아하고 반대로 재능이 없으면 흥미도 없다. 따라서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자세히 살피면 그의 품성이나 재능상의 장단점을 이해할 수 있다

 

不知而言不智, 知而不言不忠

忠(충)의 본뜻은 盡心(진심), 즉 마음이나 정성을 다하는 것이다. 忠誠(충성)은 진실하고 정성스러움 또는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정성이다.

 

모르면서도 나서서 말하는 無智(무지)가 있고, 알면서도 침묵하고 말하지 않는 不忠(불충)도 있다.

 

含容終有益, 任意是生災

冬(동)은 終(종)의 원래글자인데, 그것이 겨울의 뜻이 된 것은 겨울을 계절의 끝으로 여겨서라고 풀이한다.

 

益(익)은 그릇인 皿(명) 위에 물이 넘치는 모습의 변형이다. 그로부터 부유하다는 뜻, 보태다의 뜻, 이익이나 이로움의 뜻으로 확대되었다.

 

任(임)은 委任(위임)처럼 맡기다의 뜻, 擔任(담임)처럼 맡다의 뜻, 任用(임용)처럼 등용하다의 뜻이 있다. 任意(임의)는 마음에 맡기는 것으로 마음대로 한다는 뜻이다. 是(시)는 흔히 지시대명사로 쓰이나, 여기서는 則(즉)과 마찬가지로 어떤 조건이 갖춰짐을 표시하며 ‘그러면’ 정도에 해당한다. 災(재)는 川(천)의 본래 글자인 천(천)과 火(화)가 더해진 형태로 재난이나 재앙의 뜻이다.

 

남의 잘못을 받아들여 관용을 베풀면 끝내는 자신에게 득이 된다. 절제함이 없이 제멋대로 굴면 그 결과는 너무나 뻔하다. 그 사실을 모르지는 않지만 때로는 잊거나 외면하기도 한다

 

不知自有沈魚色, 却怪魚兒不上竿

怪(괴)는 동사로 쓰이면 이상하게 여기다 또는 나무라거나 원망하다의 뜻이 된다. 魚兒(어아)의 兒(아)는 뜻이 없는 접미사로 쓰였다. 竿(간)은 대나무 막대나 장대 또는 낚싯대를 가리킨다. 上竿(상간)은 낚여 올라오다의 뜻이다.

 

西施(서시)의 미모를 沈魚(침어)라고 하듯, 절세의 미모에는 별칭이 따른다.

 

거문고 타는 모습에 기러기가 날갯짓을 멈춰 떨어졌다는 王昭君(왕소군)의 미모는 落雁(낙안)이다.

 

달을 보자 달도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는 貂蟬(초선)의 미모는 閉月(폐월)이다.

꽃을 건드리자 꽃도 잎으로 가리며 부끄러워했다는 楊貴妃(양귀비)의 미모는 羞花(수화)이다.

이들이 중국 4대 미인의 아름다움을 대변한다

'취미 >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4  (0) 2013.04.15
53  (0) 2013.04.14
51  (0) 2013.04.11
50  (0) 2013.04.10
49  (0)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