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한문

132

土談 2013. 7. 15. 22:59

중숙어가 외교 임무를 처리하고 축타가 종묘제사를 관리하며 왕손가가 군대를 통솔하고 있으니, 이러하거늘 어찌 그 군주가 지위를 잃겠습니까.

‘논어’ ‘憲問(헌문)’의 이 章에서 공자는 인재를 기량에 따라 임명해서 책무를 다하게 하는 器使(기사)야말로 정치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공자는 衛(위)나라 靈公(영공)이 無道(무도)하지만 외교, 전례, 군사의 일을 적임자에게 맡겨두었기 때문에 失脚(실각)할 리 없다고 했다. 위나라 영공은 일곱 살 때부터 42년간이나 군주로 있었으나, 부인 南子(남자)에게 빠져 정치에는 무관심했다. 결국 그가 죽은 뒤에 내란이 일어났다.

공자는 45세 때 노나라를 떠나 위나라에 들러 영공을 만났으나 공자를 예우하려던 영공의 뜻에 반대하는 자가 있어서 1년 남짓에 위나라를 떠났다. 뒤에 공자가 다시 위나라에 들렀을 때 영공은 軍陣(군진)의 일을 물었다. 공자는 軍旅의 일은 공부하지 않았다고 대답하고 위나라를 떠났다.

仲叔어는 앞에 나온 대부 公叔文子 즉 公叔拔(공숙발)이다. 외국 사절을 접대하는 大行人의 직역을 맡았다. 대부 祝타는 종묘제사를 관장하는 大祝(대축)의 직위에 있었다. 대부 王孫賈는 軍旅를 통솔하는 司馬(사마)의 직무를 맡았다. 治는 맡은 일을 제대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夫如是는 ‘무릇 이러하면’이다. 奚는 ‘어찌’라는 뜻의 의문사다. 喪은 나라를 잃는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 주자의 설을 따라 군주의 지위를 잃는 것으로 보았다.

 

이것은 위나라의 3 인재들을 외교,내무,군대의 중요성이 현대에도 마찬가지다.

전번에 정나라의 외교 3인방으로 칭찬하신바가 있다.

이것으로 보아도 외교가 가장 중요하다는것을 알 수있는데.

이렇게 가고 있는가?

 

논어’ ‘憲問(헌문)’의 이 章에서 공자는 말과 실천의 관계에 대해 성찰하도록 촉구했다. 其言은 여기서는 大言壯語(대언장어)를 뜻한다. 작은 강한 자극이 닿은 듯 부끄러움 때문에 얼굴이 빨개지는 것을 말한다. 恥(치)는 부끄러움 때문에 귀부터 빨개지는 것, 慙(참)은 가책 때문에 마음이 베어지듯 하는 것으로, 서로 통한다. 也는 위의 구를 강조하는 뜻을 지닌 주격의 어조사다.

이 장은 ‘里人(이인)’에서 공자가 “옛 사람이 함부로 말하지 않은 것은 자신의 실행이 미치지 못할까 부끄러워해서였다”고 한 말과 表裏(표리)를 이룬다. 주자는 과장의 말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실행하려는 뜻이 없고 또 스스로의 능력을 헤아려보지도 않는 것이기에 실천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풀이했다. 여기서는 주자의 설을 따랐다.

하지만 한나라 때 馬融(마융)은, 안에 내실이 있으면 말해도 부끄럽지 않을 터인데 내실을 쌓아가는 자는 그렇게 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명심하라는 뜻으로 풀이했다. 주자는 則을 조건-결과의 접속사로 보았으나 마융은 주제화 어조사로 본 것이다. 정약용은 마융을 지지했다.

후한 때 皇甫規(황보규)는 환관들에게 아부하지 않아 무함을 받고 감옥에 갇혔다가 공경대부와 태학생 300명이 억울하다고 호소해서 풀려났다. 뒤에 환관들이 관료들을 黨人(당인)으로 몰아 해를 가한 黨錮(당고)의 화가 일어났을 때 연루되지 않자 부끄러워하여 자기도 黨人이니 처벌해 달라고 했다. 조정에서는 죄를 묻지 않았다. 역사가는 ‘논어’의 이 章을 인용한 후 ‘황보규의 말을 보면 마음속으로는 부끄러워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유가의 핵심은 공경서를 실행하기 위하여 늘 愼獨하고 지나치거나 모자람없이 深謀遠慮해야하는것이다.

여기에 怍도 愼,慮와 같은 취지로 보는 것이 제 몸에 맞는 옷을 입는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모든 분야에서 관심사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방법보다 좋은 것이 있을까?

 

 

以吾從大夫之後라 不敢不告也니라

齊(제)나라의 陳恒(진항)이 그 군주 簡公(간공)을 시해했다는 소식을 듣고, 공자는 沐浴齋戒(목욕재계)하고는 노나라 군주 哀公(애공)을 만나, 진항을 토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항은 본디 陳(진)나라 文子의 자손인데, 그 선조가 제나라로 망명해서 田氏로 일컬었다. 이 집안은 제나라에서 세력을 키우더니, 진항이 마침내 간공을 시해한 것이다. 동맹국에 정변이 일어나면 토벌군을 내는 것이 제후들 사이의 의리였다.

하지만 당시 노나라의 정권은 노나라 桓公(환공)의 세 후손인 孟孫氏(맹손씨) 叔孫氏(숙손씨) 季孫氏(계손씨)의 이른바 三桓(삼환)에게 있었다. 애공은 스스로 결정을 하지 못하고 공자에게 세 가문의 대부들에게 알리라고 했다. 공자는 실망해서 “내가 대부 반열의 끄트머리에 있었기 때문에 감히 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거늘 군주는 세 사람에게 고하라고 하는구나”라고 했다. 그러고는 세 사람에게 알렸으나 이들은 토벌의 군대를 낼 수 없다고 했다. 공자는 물러나와 ‘내가 대부 반열의 끄트머리에 있었기 때문에 감히 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탄식했다.

공자는 대부의 직을 그만두었지만 노나라가 여전히 대부로 예우했으므로, 공자는 겸손하게 ‘대부 반열의 끄트머리에 있다’고 말했다. 不敢不告也는 아무래도 고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이다. 공자가 삼환에게 토벌의 당위성을 말한 것은 당시 僭越(참월)의 뜻을 품었던 삼환을 責望(책망)하는 뜻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그렇기에 삼환은 불가하다고 한 듯하다. 공자는 일생 재계와 전쟁과 질병을 삼갔다. 하지만 대의를 실현하기 위해 토벌의 정당성을 역설했으니 성사 여부와 관계없이 실천 의지를 우리는 읽어내야 할 것이다.

 

공자을 부각하기 위하여 대부중 쫄병이더라도 정의을 위해서 한마디 했다면.

대단한 용기로 볼 수있다.

그러나 춘주 전국시대에 줄곧 이런 불상사가 연속인데.

과연 공자가 이 문장을 원했을까?

약한 노나라가 먼저 동맹이던 침략이든 정의을 위하든 전쟁을 일으킨적이 있는가?

이럴때는 오히려 삼환의 생각이 전체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현명하지는 안았는가?

 

맹자도 연나라를 공격해도 좋다고 해서 제나라가 말을 듣는것 처럼 표현되어 있다.

자작 글이니 이렇게 쓸 수있겠지만

제나라에서 매사에 맹자를 경계하고 뜻을 받아들이지 않는것에 대해 떠난것이 있는데.

어찌 한 사람의 말에 좌지우지 했단 말인가?

제나라에서 전쟁을 일으킨것을 맹자에게 덮어 쒸우니

하은주 같은 나라나 가능하다는 말을한다.

그당시 이런 전쟁을 일으킬 자격이 있는 나라가 없는것을 뻔하게 알것인데.

말장난 같은 아이러니한 상항을 연출한다.

오히려 제나라의 옭가미에 이용 당한것에 분개하여

궁색한 변명은 아닌가?생각해 볼 일이다.

 

춘주전국시대에 살아남기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하여 투쟁을 벌인 사람은 버러지같이 여기고.

시공일관 전쟁통에 일관성 없는 한마디한 공맹이 높이 평가 받아야 할 이유가 있는가?

사마천도 공자을 높이 평가한것이 업적과 인격이다보다

많은 인물들이 왔다가 가면 잊어지는데,노나라에 가 보니 공자을 숭상하고 재사 지내더라.

이런 측면에서 다른 종교처럼 공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종교적인 성향으로 바꿔가는것은 아닐까?

공자의 있는그대로 표현하고 자신의 소신을 밝힌것을 후대에 포장하기위해 하자을 만든것은 없는가?

즉 공자는 노자처럼  순수함 그대로인데,후대에 우월성을 보이고자 일관성을 잃지는 않았는가?

여러가지 측면으로 고려 할점이 여러곳에 보인다.

 

 

 

 

 

 

 

'취미 >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4  (0) 2013.07.17
133  (0) 2013.07.16
131  (0) 2013.07.14
130  (0) 2013.07.12
129  (0) 2013.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