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路가 問事君한대 子曰, 勿欺也오 而犯之니라
군주가 싫어하는 안색을 짓는데도 불구하고 直諫하는 것을 犯顔色(범안색)이라고 한다. 줄이면 犯顔(범안)이다. 司馬遷(사마천)은 漢(한)나라 文帝(문제) 때 袁앙(원앙)이란 인물이 犯顔色하면서까지 主義主張(주의주장)을 폈으므로 ‘史記(사기)’에 傳(전)을 세운다고 했다.
직간하면 천자문에 나오는 史魚秉直보다 더한 분이 있을까?
직간 참으로 쉬운 일이 아니다.
리더들의 유형을 현명한 자들은 자신의 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데,
처음 모를때는 한 두번 하겠지만 다음 부터 직간을 하지않으면 직무유기인가?
어리한 리더을 탓할것인가?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 하는가?
아니면 모르는척하면서 지내야 하는가?
공자께서 왜 자로에게 이런 답을 했을까?
자로가 평소 거짓말하고 둘러되는 버릇이 있었는가?
공자 스타일로 보아 이런 추정밖에 없는데,
아니면 동네 북인가?
君子는 上達하고 小人은 下達하니라
공자는 군자와 소인을 대비시켜 군자는 上達하고 소인은 下達한다고 했다. 達이란 極點(극점)에 이르러 감이니, 下達과 上達은 대립개념이다. 따라서 일상의 일을 배운 뒤에 위로 天理(천리)에 도달한다는 뜻의 下學上達(하학상달)과는 다르다.
주자는, 군자가 天理를 따르므로 나날이 高明(고명)의 경지로 나아가고 소인이 人欲(인욕)을 따르므로 나날이 汚下(오하·구렁텅이)에 이르러 간다고 했다.
고명이란 ‘중용’에서 말한 인간의 숭고한 경지를 말한다. 정약용은 주자의 설을 부연해서 이렇게 말했다. “군자나 소인은 처음에는 모두 中人(중인)이었지만 義(의)를 추구하는 마음과 利(이)를 쫓는 마음의 차이가 털끝만큼 가늘게 벌어져, 군자는 나날이 德(덕)으로 나아가 最上(최상)에 이르고 소인은 나날이 퇴보하여 最下(최하)에 이르게 된다.”
이것 말고도 다양한 표현들이 많겠지만
저는 군자는 자신의 주어진 일을 충실히 하여 공익에 일조하고,소인은 주어진 일을 편법을 취하여 사익을 취하는자로 나누고 싶다.남여노소 지위고하을 떠나.
古之學者는 爲己러니 今之學者는 爲人이로다
선인들은 학문을 크게 爲己之學과 爲人之學으로 나누었다. 직역하면 나를 위한 학문과 남을 위한 학문이지만 이기주의와 공리주의의 구별을 말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爲己之學이란 자기를 완성하기 위해 덕성을 修養(수양)하는 학문을 말하고 爲人之學은 남에게 알려지려고 자기를 과시하는 학문을 말한다. 구별은 바로 ‘논어’의 ‘憲問(헌문)’에서 공자가 말한 내용과 그것을 풀이한 程이(정이)와 주자의 설에 근거한다.
단, 옛 주석이나 정약용의 설에 따르면 爲己는 실천해 나가는 일을 가리키고 爲人은 남에게 말만 하는 일을 가리킨다. ‘순자’의 ‘勸學(권학)’에도 ‘군자의 학문은 귀로 들어와 마음에 들러붙고 四體(사체)에 펼쳐져서 動靜(동정·기거동작)에 나타나지만 소인의 학문은 귀로 들어와 입으로 나간다. 입과 귀의 사이는 네 치에 불과하거늘 어떻게 일곱 자의 몸을 아름답게 할 수 있으랴’라고 했다. 爲人之學은 귀로 듣고 입으로 내보내는 口耳之學과 같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통설인 정이와 주자의 설을 따랐다.
이분법적인 생각이 좋다고 볼수는 없다.
배움이란 것은 자신을 위하든 타인을 위하든 어찌 구분이 있겠는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쓰이는것이 당연하다.
수천년 전에도 지금도 이런 현상들이 나타나 자신들의 우월성을 열등감을 극복하는 요소로 쓰고 있다.
모두 이런 굴절된 마음이 작용한다.
爲己之學이란 자기를 완성하기 위해 덕성을 修養(수양)하는 학문을 말하고 爲人之學은 남에게 알려지려고 자기를 과시하는 학문을 말한다
왜 이렇게 만 보는가?
爲己之學 는 수신으로 爲人之學은 이타 정신으로 치국 평천하 하는 배움으로 보아도 좋을 것 같은데,
爲己之學이라 해서 어찌 좋은 점만 있겠는가?모든 것이 습관인데 자신의 아집에서 편협된 자기 수행은 남에게 알려지고 과시하는것보다 더 어려운에 직면 할 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