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한문

135

土談 2013. 7. 18. 21:10

공자는 군자로서 힘써야 할 세 가지에 仁 知(智) 勇이 있다고 말하고 스스로에게는 그런 점이 부족하다고 自責(자책)했다. 공자의 이 말에 대해 子貢(자공)은 “이것은 부자께서 스스로를 말씀하신 것이다”라고 해서 공자야말로 이 세 가지를 갖추고 계신 분이라고 덧붙였다. 단, 공자 자신은 성인으로 자처하지 않았다. 자신을 성인으로 여기면서 겉으로만 겸손한 척하지도 않았다. 그렇기에 자책의 말씀이 남에 대한 격려의 말씀이 되는 것이다.

無能焉은 셋 가운데 잘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말이니 謙辭(겸사)이다. 仁者不憂는 어진 사람은 안이 병들어 있지 않기에 근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知者不惑은 지혜로운 사람은 사리에 통달해 있으므로 헷갈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勇者不懼는 義理(의리)에 충실한 까닭에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子罕(자한)’에서도 공자는 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를 말하여 ‘중용’에서 三達德(삼달덕)으로 제시한 知 仁 勇을 부연하듯이 설명했다. 삼달덕이란 천하에 통하는 보편적인 세 가지 덕목이라는 말이다.

 

사람들은 남을 평가하기 좋아한다. 한나라 때의 역사서를 보더라도 인물에 대한 평어인 人評(인평)이 많이 나온다. 이를테면 ‘설문해자’를 엮은 許愼(허신)을 두고 ‘經學無雙許叔重(경학무쌍허숙중)’이라 했다. ‘경학에서 비교할 자가 없는 허숙중’이라는 말이니, 숙중은 허신의 字다. 공자의 제자 가운데 子貢 즉 端木賜(단목사)도 남을 평가하길 좋아했다. 이에 대해 ‘논어’의 ‘憲問(헌문)’편에서 공자는 ‘단목사는 어진가보다’라고 그 점을 인정하는 듯 비판하는 듯 말한 뒤, 나는 자신을 닦는 일에 급급해서 남을 평가할 겨를이 없다고 말했다.

方人의 方은 比較(비교)다. 賜也는 주격이다. 乎哉는 의문의 뜻을 지닌 감탄사다. 夫는 발어사다. 명사 어구 다음의 則은 ‘∼로 말하면’의 뜻을 지닌다. 不暇는 남을 비교할 틈이 없다는 뜻이다

 

不患人之不己知요 患己不能也니라.

내 자신의 무능함을 걱정하라고 했다. 내면의 덕을 닦아 자기 자신을 충실하게 하는 專內實己(전내실기)의 공부에 힘쓰라고 촉구했다.

患은 마음에 켕겨하는 모습이다. 흔히 不과 勿을 구분해서 不은 단순 부정사, 勿은 금지사로 보지만, 둘은 통용된다. 부정부사에는 b- 계열과 m- 계열이 있는데 서로 통용된다. 즉, 不은 否(부) 弗(불) 未(미) 毋(무) 勿(물) 無(무) 亡(망) 非(비) 匪(비) 靡(미) 蔑(멸) 微(미) 罔(망)으로 표기할 수 있다. 人之不己知에서 之는 포유문 속의 주어와 술어를 이어준다. 不己知는 짧은 부정문에서 빈어(목적어)가 대명사일 때 대명사가 동사 앞으로 도치되는 어법을 따랐다. 不能은 無能(무능)으로 되어 있는 텍스트도 있다.

위의 3문장은 공자의 수행의 실천의 높은 경치를 알 수있게한다.

한마디로 항상 有備無患하는 자세를 가지라는 가르침이다. 

'취미 >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7  (0) 2013.07.21
136  (0) 2013.07.19
134  (0) 2013.07.17
133  (0) 2013.07.16
132  (1) 2013.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