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는 博愛(박애)와 仁厚(인후)의 덕을 지닌 사람인데 여기서는 가만히 공자를 가리킨다. 惡는 ‘미워할 오’나 ‘나쁠 악’으로 읽을 수 있다. 有惡의 惡는 ‘미워할 오’다. 稱人之惡의 稱은 말한다는 뜻이고 惡은 나쁠 악이다. 下流는 下位(하위)와 같다. 산은 毁謗(훼방)의 뜻이다. 上은 군주를 비롯해 상위에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果敢은 과단성 있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窒은 窒塞(질색)으로, 도리에 통하지 않음을 말한다.
이런 행위을 한자도 자신이 당하면 미워하지않겠는가?
공자는 자공에게 군자도 미워함이 있다며 네 가지 미워하는 대상을 밝혔다. 남의 악함을 말하는 자, 하류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훼방하는 자, 용기만 있고 예의가 없는 자, 과감하기만 하고 융통성이 없는 자를 미워한다고 했다. 이번에는 공자가 자공에게 너도 미워함이 있느냐고 물었다. 자공의 이름은 端木賜로, 단목이 성이고 이름이 賜다. 자공은 남을 엿보기나 좋아하는 자, 오만하기 짝이 없는 자, 남의 비밀을 들춰내기 좋아하는 자를 싫어한다고 말했다.
이는 伺察(사찰)의 뜻이니 사심을 가지고 남의 생각을 엿보는 것을 말한다. 以爲는 ‘∼을 ∼로 여긴다’는 뜻을 나타내는 구문인데, 여기서는 ‘∼을’에 해당하는 말이 以의 앞에 놓여 있다. 知는 智와 같다. 지혜롭다는 뜻이다. 不孫은 不遜(불손)과 같다. 사람을 凌蔑(능멸)하여 驕慢(교만)하게 구는 것을 말한다. 알은 暴露(폭로)와 摘發(적발)의 뜻이니, 남의 비밀을 들춰내는 것을 말한다.
知와 勇과 直은 사람이 지녀야 할 덕목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을 인격주체로서 존경하지 않고 그의 속마음을 탐지해서 그가 말하기도 전에 사실을 말해버리거나 그의 존엄성을 무시하고 불손하고 교만하게 굴며 그가 드러내기 싫어하는 사적인 비밀까지 폭로하면서 그것을 지혜, 용기, 정직이라고 한다면 名譽毁損(명예훼손)이요 人權蹂躪(인권유린)이다
見惡는 수동태로 남에게 미움을 받는다거나 군자에게 미움을 받는다는 뜻으로 마흔이 되어서도 미움을 받는다는 것은 마흔이 되어서도 焉=공자가 미워한 자나 자공이 미워한 자처럼 행동하는 자를 우선 가리킨다고 보아도 좋다. 終也已는 ‘끝장일 따름이다’라는 뜻이다.
위의 3문장에서는
때의 흐름을 거역하면 그만큼 어려움을 격는다는 취지다.
특히 40을 강조한것이 인생에 가장 큰 비중이 있어서가 아니겠는가?
40이면 자신의 얼굴에 책임을 지라는 말의 근원이 여기에서 알 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