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서로 노봉 원필 중봉 운필 운용 행서는 초서와 해서의 중간 형태로 아마 해서와 거의 동시에 생겨나서 발전했으리라고 짐작된다. 왕희지 의 난정서(蘭亭書)는 고금에 빛나며 그 후 당의 저수량과 안진경을 거쳐 청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발달하 였다. 취미/서예 2012.01.15
해서로 장봉 원필 중봉 운용 종요와 왕희지를 거쳐 초당의 구양순, 우세남, 저수량이 북위서를 계승하고 왕희지법을 더하여 방필에 원필을 가미한 완미(完美)에 가까운 체계를 이루었고 그 후 안진경이 출현하여 거의 원필을 이용하여 웅장 한 남성적인 해서를 완성하였다. 해서의 자형은 정방형에 가깝다. 취미/서예 2012.01.15
전서 노봉 원필 중봉 운용 좌필 대전이 자연스럽고 질박하다면 소전은 반듯하고 중후한 감을 준다. 소전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진시황의 공적을 기록한 태산각석, 낭야대각석, 역산비가 있다. 소전은 모두가 원필이며 자형이 아래위로 길다. 취미/서예 2012.01.15
厚黑 신묘년에 氣 爽을 돌이켜 보면 환경의 문제의 초석이 되어 발전됨을 살펴보았는데 이 환경은 물적인 변화 뿐아니라 인적인 변화도 볼 수있습니다. 인적인 변화로 국운이 기틀을 맞이함에도 불구하고 무엇을 선택하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일전의 글이 지금의 심정을 헤아리는것같.. 취미/기타 2011.12.29
인삼 유럽인들이 아프리카를 돌아 아시아로 오고자 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후추를 얻기 위함이었다. 후추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의 향료, 중국의 비단, 도자기, 차 등은 세계사를 변화시킨 아시아의 특산품이자, 수출품이었다. 한국사에서 이와 같은 수출품을 찾자면, 단연코 인삼이라고 할 .. 취미/요리조리(食) 2011.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