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곡자 귀곡자 유문에 이허중 주석에 00번역에도 이해가 되않는 부분이 많을것같아 보충설명하고 현재 언급하는 명조을 바로 적용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우선 귀곡자란 분에 관하여 알아보면 귀곡자는 전국시대에 활약한 중원의 고수이다. 합종과 연횡으로 유명한 소진과 장의도 그의 제자이고.. 취미/역학 마당 2012.03.16
조습 35 25 15 05 戊 丁 丙 乙 --- 甲 甲 甲 甲 : 43세 乾命 寅 丑 子 亥 --- 戌 寅 戌 戌 * 본명은 황극강(黃克强)의 명조이다. * 비록 명성은 천하에 가득하였다고 할지라도 재물은 거두어 누리지 못하였다. * 戊寅運으로 바뀌어서는 피를 토하고 세상을 떠났다. (43세. 戊寅대운 丙辰年 戊戌月) 28세 丁.. 취미/역학 마당 2012.03.14
미혼 미혼 명조에서 남자와 여자의 경우 적령기에 흐름에 일관성이 있어야 하는데 문제는 대운의 흐름이 상반되어 이것에 부합하는지도 궁금하고 여자의 경우 ) 여) 이름 : l (45세) 음력 1966 . 7 . 5 = 양력 1966 . 8 . 20 절기 : 입추 시 일 월 년 壬 辛 丙 丙 辰 亥 申 午 乙 戊 戊 丙 癸 甲 壬 己 戊 壬 .. 취미/역학 마당 2012.03.11
납음 子寅同途. 歲上辰下. 자인이 같은 길을 간다 는것은 60갑자의 시작을 의미하고 저가쓴글중에 왜 갑자로 시작되는이유을 쓴것이 있을것이니 참고하시고. 그해의 이것이 천간과 지지로 구분되어 간지가 된다. 未可俱言其支. 先甲後子. 그 지지을 모두 논 할 수없지만,먼저 갑을 후에 자을 .. 취미/역학 마당 2012.03.07
이허중 우선 번역전에 납음의 생성과정을 이해 하여야 할것같습니다. 이허중은 년주을 중심으로 천간,지지,납음을 중심으로 세운에 따라 신살과 12운성중심으로 풀어가는것같습니다. 한때는 천시되다가 심풀하고 이해하기 좋고,학문적으로 오랜 공부한분들도 촌노의 이런것으로 알 수있는것이.. 취미/역학 마당 2012.03.06
예서 진시황은 중원을 통일한 뒤 군현제를 실시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갖추었다. 이에 따라 공문서 등이 증가하면서 전서를 간략하게 만든 새로운 서체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 때 만들어 진 것이 예서이다. 예서는 한나라로 그대로 이어지면서, 해서, 행서, 초서 등 여러 서체로 다시 분화 발전.. 취미/서예 2012.03.01
한글 (궁체 운필) 정자는 한자의 당해와 흐름을 같이 한다. 이 글씨는 장중함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절제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창제 당시의 고체가 모든 글자의 길이를 같은 크기로 구속하였다면 궁체는 그 길이를 글자의 모양에 따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조형적인 자유로움을 얻게 하였다. 이점이 바.. 취미/서예 2012.03.01
한글(고체 운필) 고체는 좌필,궁체는 우필 고체는 한글이 처음 반포되었을 때의 옛 서체를 말한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처음 만들었을 때 를 둥근 점모양 그대로 쓴 [훈민정음해례본]과 를 짧은 방형으로 바꾸어 쓴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등 두 가지 서체가 있었다. 고체는 방형의 모양으로 썼기 때.. 취미/서예 2012.01.21
參才 번역이나 그 문구을 이해하는 되는 가장 먼저 왜 이글이 어떤 시대적인 배경을 가지고 쓰이는가을 관찰해야 할것같습니다. 이글은 태초에 천지인의 시작을 여는때 부터 살아가면서 어울려 쓰이는 과정을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너무 지나치게 이론을 가미하여 난삽하게 만드는것.. 취미/기타 2012.01.20
해서로 행초서 운필 한지에 먹의 농도에 붓의 쓰임과 다양한 요소에 범접하여 작품을 하여야하나 때에 따라 붓을 운용하기위한 즉 붓을 장악하기위한 수단으로서의 방법도 필요하고 글자의 구도을 익히는데도 좋을것같아 이렇게 연습해 봅니다. 행초서 획들이 서로 이어지면서 형태를 만들어내는 행초서는.. 취미/서예 201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