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 백어는 자신이 아버지에게 들은 것이 ‘不學詩면 無以言이라’와 ‘不學禮면 無以立이라’는 두 가르침뿐이라고 했다. 공자가 홀로 서 있을 때 자식에게 가르쳐 준 것이 이러했으니, 자식에게만 후하게 가르친 일이 없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시경’의 시와 생활규범의 예를 학도.. 취미/한문 2013.08.27
172 行義達道는 세상에 나가 이상을 실천함이고 隱居求志는 숨어 살며 덕을 수양함이다. 군자의 사업과 관련해서 隱居求志와 行義達道라는 두 경지를 제시한 유명한 구절이다. 隱居求志와 行義達道에 대해 정약용은 둘을 하나로 연결해 풀이하고 그 예로 백이·숙제를 들었다. 이렇게 두 구.. 취미/한문 2013.08.26
171 ‘중용’에 보면 어떤 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알고 어떤 이는 배워서 알며 어떤 이는 곤혹을 겪고서 알되 앎이란 점에서는 동일하며 어떤 이는 편안히 행하고 어떤 이는 이로움으로 행하며 어떤 이는 힘써 행하되 성공이란 점에서는 동일하다고 했다. 선천적 조건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 취미/한문 2013.08.23
170 戒는 警(경)과 같다. 少之時는 13세 이전이다. 血氣未定이란 혈기가 격렬하게 움직인다는 뜻이다. 在는 ‘∼에 있다’, 及은 ‘∼에 이르러서는’이다. 壯은 30, 40대를 말한다. 剛은 강하고 성대함이다. 老는 50세 이후를 가리킨다. 得은 음식이나 재물을 얻음을 뜻한다. 공자는 도리를 알아.. 취미/한문 2013.08.22
169 공자의 표준 모델에서는 천자가 정치에 중심이고 제후즉 대부들이 좌지우지하는 일이 없고 백성들은 왕이 누구인지 관심이 없는것이 즉 천하의 도가 있다. 友直, 友諒, 友多聞은 벗이 정직하며 벗이 성실하며 벗이 견문이 많다는 말로 풀어도 좋고, 정직한 이를 벗 삼으며 성실한 이를 벗.. 취미/한문 2013.08.21
168 공자는 작심한 듯 염有(염유)와 季路가 노나라 대부 季氏의 전臾(전유) 정벌 계획을 저지하지 못한 사실을 비난했다. 그리고 한 국가나 한 영지를 다스리는 爲政者(위정자)는 다른 지역을 정벌하려고 하지 말고 境域(경역) 안의 文德을 진흥해서 遠人이 信服(신복)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 취미/한문 2013.08.20
167 노나라 대부 季氏가 전臾(전유)를 정벌하려고 하자 계씨의 가신인 염有(염유)와 季路가 공자에게 알렸다. 공자는 계씨가 노나라의 社稷之臣(사직지신)인 전유를 정벌해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그 일을 저지하지 못한 염유를 꾸짖었다. 염유는 자기의 뜻이 아니라고 변명했지만 공자는 옛 .. 취미/한문 2013.08.18
166 辭를 문장과 언어의 뜻으로 넓게 이해했다. 達은 意志(의지)를 상대에게 충분히 通達(통달)하게 함이다. 而已矣는 ‘∼일 따름이다’로, 제한과 단정의 어조를 지닌다. 말하거나 글 쓰는 이는 자신의 뜻을 표현하여 상대가 이해하도록 만드는 데 중점을 둬야지 본심이 드러나지 않거나 이.. 취미/한문 2013.08.17
165 군자는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는 법이라고 했다. 어째서인가? 군자는 올바른 도리에 대해서는 굳게 지켜 흔들림이 없어야 하지만 是非曲直(시비곡직)을 따지지 않고 그저 처음 뜻을 관철하려고 고집해서는 안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貞은 바르고도 굳다는 말로, 節操(절조)가 굳음을 가.. 취미/한문 2013.08.16
164 공자는 군자와 소인의 임무가 다를 수 있다고 논하였다. 해석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주자는 知와 受를 서로 다른 것으로 보아 知는 내가 사람을 관찰하는 것, 受는 저 사람이 나에게서 받는 것을 가리킨다고 보았다. 이에 비해 정약용은 知와 受를 모두 ‘맡아 본다’로 해석했다. 곧, 知.. 취미/한문 2013.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