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欲致魚者先通水, 欲致鳥者先樹木 欲(욕)은 바라다 또는 ∼하고자 하다의 뜻이다.. 致(치)는 이르다 또는 이르게 하다의 뜻이다. 그로부터 불러들이거나 불러 모으다 또는 초래하다의 뜻으로 확대된다. 樹大招風(수대초풍)은 나무가 크면 바람을 부른다는 뜻으로, 명성이 높아지면 말썽이 .. 취미/한문 2013.03.26
36 晩飯少吃口, 活到九十九 밥과 같이 먹는 반찬은 따로 饌(찬)이라고도 한다. 餐(찬) 역시 음식 또는 먹다의 뜻이다. 晩飯(만반)은 저녁밥으로서 晩餐(만찬)과 같다. 少(소)는 적다 또는 젊다는 뜻으로, 각기 多(다) 또는 老(로)와 상대적인 의미이다. 口자루, 칼 등을 세는 단위 吃(흘)은 먹거.. 취미/한문 2013.03.25
35 狐死歸首丘, 故鄕安可忘 狐假虎威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말로 남의 권세에 의지해 위세를 부리는 행위를 비유한다. . 首(수)는 머리의 뜻이다. 동사로서 머리를 두다 또는 향하다의 뜻도 된다. 여기서는 머리를 대고 누워 죽는다는 뜻이다. 狐死首丘(호사수구)는 여우가 죽을 .. 취미/한문 2013.03.24
34 揚湯止沸,不如滅火去薪 揚(양)은 들어 올리다 또는 드러내거나 드날리다의 뜻이다. 抑揚(억양)은 누르고 들어 올리는 것이고, 揚名(양명)은 명성을 날리는 것이다. 湯(탕)은 뜨거운 물을 뜻한다. 국이나 달인 약 또는 온천 따위의 뜨거운 액체를 두루 가리킨다. 끓이다의 뜻도 있다. 揚湯(.. 취미/한문 2013.03.23
33 流水不腐, 戶樞不蠹 轉石不生苔.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는 말이다. 사람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늘 활동하는 이가 건강하며 머리도 많이 쓸수록 잘 돌아간다. 사람만이 아니라 조직이나 단체도 마찬가지이다. 항상 활발히 움직이며 변화할 때에 비로소 정체와 부패가 사.. 취미/한문 2013.03.22
32 三年視敬業樂群, 五年視博習親師 학업을 공경하며 학우들과 즐겨 어울리는 것은 배움의 작은 완성으로 가는 과정의 초보단계라고 하였다. 그런데도 오늘날에는 학업이 단지 직업이라는 목적 달성의 수단으로만 여겨지며, 또한 경쟁 속에서 남들과의 어울림이 뒷전으로 밀려나는 경우가.. 취미/한문 2013.03.21
31 人事有代謝, 往來成古今 人事(인사)는 인간 사회의 일을 가리킨다. 代謝(대사)는 묵은 것과 새것이 서로 바뀜을 뜻한다. 新陳代謝(신진대사)의 준말로 쓰이기도 하는데 陳1. 베풀다 2. 묵다 3. 늘어놓다 4. 늘어서다 5. 말하다 6. 많다 7. 조사하다(調査--) 8. 펴다 9. 나라 이름 10. 왕조 이름 11. .. 취미/한문 2013.03.20
30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善(선)은 기본적으로 착하다 또는 좋거나 훌륭하다는 뜻이다. 上善(상선)은 높은 경지의 훌륭한 덕을 가리킨다. 善行(선행)은 착하거나 훌륭한 행실을, 善政(선정)은 훌륭한 정치를 가리킨다. 善終(선종)은 잘 끝마치는 일로서 유종의 미를 거둔다는 의미도 되.. 취미/한문 2013.03.19
29 團圓莫作波中月, 潔白莫爲枝上雪 團(단)은 둥글다는 뜻이다. 모이다 또는 단체라는 뜻도 있다. 圓(원)도 둥글다는 뜻이다. 원만하다는 뜻이 함께 있다. 團圓(단원)은 여기서는 온전히 둥근 것을 가리킨다. 풍성하고 온전한 사랑으로 풀이할 수 있다. 團圓(단원)은 또 가정의 화합을, 소설이.. 취미/한문 2013.03.18
28 風霜高潔, 水落而石出 가을에는 하늘이 높아 바람 역시 높은 데서 부는 듯하고, 가을의 서리는 유난히 깨끗해 보인다. 落(락)은 떨어진다는 뜻으로 水落(수락)은 水量(수량)이 줄어들어 水位(수위)가 낮아짐을 의미한다. 落(락)은 衰落(쇠락)이나 沒落(몰락)에서처럼 쇠퇴하거나 황폐해지.. 취미/한문 2013.03.14